주역(周易)/주역 64괘 해설

6. 송괘(訟卦) ☰☵ : 논쟁, 갈등

Change Book 2025. 2. 19.
 이전 64괘표 다음 

 

천수송괘는 갈등과 논쟁의 상황을 나타냅니다. 하늘과 물이 서로 엇갈리는 모습처럼, 송괘는 대립 속에서 정의와 공정함을 유지하려는 태도를 강조합니다. 이는 논쟁을 해결할 때 지혜롭고 절제된 자세를 가질 것을 가르칩니다.

 

거친 바다 위에 격렬한 파도가 치고, 먹선으로 그린 강한 바람과 불안정한 물결 속에서 갈등과 소송의 긴장감을 강조

 

 

• 원문: 有孚, 窒惕, 中吉, 終凶, 利見大人, 不利涉大川
• 음: 유부, 질척, 중길, 종흉, 리견대인, 불리섭대천
• 기본 의미: 논쟁, 갈등


 상세 해설:
o 유부(有孚): 믿음을 가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o 질척(窒惕): 조심스럽게 행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o 중길(中吉): 중간에 길함을 의미합니다.
o 종흉(終凶): 끝이 흉하다는 의미입니다.
o 리견대인(利見大人): 큰 사람을 만나는 것이 이롭다는 의미입니다.
o 불리섭대천(不利涉大川): 큰 강을 건너는 것이 이롭지 않다는 의미입니다.
o 송괘는 갈등과 논쟁을 의미하며, 문제 해결을 위한 논의와 협상이 필요합니다. 공정하고 신중한 태도가 중요합니다.


 괘사 해설:
o "믿음을 가지고 조심스럽게 행동하면 중간에는 길하나, 끝에는 흉하다. 큰 사람을 만나는 것이 이롭고, 큰 강을 건너는 것은 이롭지 않다"는 의미입니다.
o 논쟁과 갈등을 신중하게 해결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효사 해설: () ☰ ☵
o 초육(初六): 不永所事, 小有言, 終吉 (불영소사, 소유언, 종길) - 일을 오래 지속하지 않으니, 작은 말이 있더라도 마침내 길하다.
o 구이(九二): 不克訟, 歸而逋, 其邑人三百戶, 无眚 (불극송, 귀이포, 기읍인삼백호, 무성) - 송사에서 이기지 못하고 돌아와 도망하니, 그 읍의 사람이 삼백 호가 되어 허물이 없다.
o 육삼(六三): 食舊德, 貞厲, 終吉, 或從王事, 无成 (식구덕, 정려, 종길, 혹종왕사, 무성) - 옛 덕을 먹으니, 바르게 하면 위태로우나 마침내 길하다. 혹 왕의 일을 따르지만 성공하지 못한다.
o 구사(九四): 不克訟, 復即命, 渝, 安貞吉 (불극송, 복즉명, 유, 안전길) - 송사에서 이기지 못하고, 다시 명을 따르니, 변하고, 바르게 하면 길하다.
o 구오(九五): 訟, 元吉 (송, 원길) - 송사에서 크게 길하다.
o 상구(上九): 或錫之鞶帶, 終朝三褫之 (혹석지반대, 종조삼시지) - 혹 그에게 띠를 내려주지만, 아침마다 세 번 벗긴다.

 

 



 

도올주역강해

도올 김용옥 선생님의 주역 강해 유튜브 링크를 공유합니다.

 

 

 

[도올주역강해 25] 시진핑의 중국, "사상을 통일하고 믿음을 확고히 하고~" - 여순민중항쟁 구례위령제 제문

 

[도올주역강해 26] "우리에겐 법으로 이루어진 진보가 없다" - 동양인의 '법에 대한 생각', 송괘

 

 

 

 

 

 

 이전 64괘표 다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