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周易)/주역이란

주역(周易) 점치는 방법

Change Book 2025. 2. 19.
반응형
 이전  주역점 》 64괘표 

 

 

1. 점치는 방법

1) 질문 설정

주역을 통해 묻고 싶은 질문이나 문제를 명확히 정리합니다. 예를 들어, "이번 사업이 성공할 가능성은?" 등 구체적인 질문을 생각해보세요.

 

2) 동전으로 점치는 방법

    (1) 동전 준비: 주역 점에서는 세 개의 동전이 필요합니다. 동전의 앞면과 뒷면이 양(陽)과 음(陰)을 나타냅니다.

    (2) 동전 던지기: 세 개의 동전을 함께 던집니다. 동전의 앞면과 뒷면 조합을 통해 효(爻)를 얻습니다.

  • 동전 세 개 중 앞면이 두 개 이상 나오면 양효(一)를,
  • 뒷면이 두 개 이상 나오면 음효(--)를 구성합니다.
  • 이 과정을 여섯 번 반복하여 육효(六爻)를 완성합니다.

 

3) 서점으로 점치는 방법

서점을 이용한 주역 점치는 방법은 시초(蓍草)를 사용하여 점괘를 구성하는 고전적인 방법입니다. 시초는 주로 마디기나 다른 식물의 줄기를 건조시켜 사용하며, 이 방법은 보다 전통적이고 정교한 과정을 필요로 합니다. 아래에 시초를 이용한 점치는 방법입니다.

 

    (1) 시초 준비: 시초 50개를 준비합니다. 이 중 하나를 빼고 49개를 사용합니다.

    (2) 1차 작업

  • 49개의 시초를 무작위로 두 묶음으로 나눕니다.
  • 오른손으로 하나의 시초를 왼손으로 옮기고, 왼손에서 나머지 시초를 4개씩 뺀 뒤, 나머지 시초 수를 셉니다. 이 수를 기초로 주역의 효를 결정합니다.

   (3) 2차 작업

  • 나눈 두 묶음 중 작은 묶음을 오른손으로 옮기고 나머지 시초를 4개씩 빼어 나머지 수를 셉니다. 이 과정은 세 번 반복합니다.

   (4) 효 결정

  • 시초를 뽑는 과정에서 효(효수)를 결정하는 숫자들은 6, 7, 8, 9 중 하나가 됩니다.
  • 6과 8은 음효, 7과 9는 양효로 해석됩니다. 만약 6 또는 9가 나오면 변화하는 효로 해석합니다.

 

4) 괘(卦) 구성

육효가 완성되면, 이를 주역의 64괘 중 하나로 구성합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효가 음, 두 번째 효가 양, 세 번째 효가 음이라면, 이런 식으로 아래에서 위로 육효를 쌓아가며 괘를 완성합니다.

  • 6개의 효를 아래에서 위로 쌓아 **본괘(本卦)**를 만듭니다.
  • 만약 변효(變爻)가 있다면, 변효를 바꿔서 **지괘(之卦)**를 만듭니다.

 

5) 효사의 사용법

효사는 점친 결과를 해석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① 변효(變爻)가 없는 경우

  • **괘사(卦辭)**를 중심으로 해석합니다.
  • 괘 전체의 의미를 보고 점을 풀이합니다.

② 변효(變爻)가 있는 경우

  • 변효가 있는 효(爻)의 **효사(爻辭)**를 읽고 해석합니다.
  • 여러 개의 변효가 있다면, 다음과 같이 해석합니다.
    • 한 개의 변효: 변효의 효사를 중심으로 해석합니다.
    • 여러 개의 변효: 일반적으로 가장 중요한 위치(보통 정응 관계, 중심 효)에 있는 효사를 우선 고려합니다.
    • 모든 효가 변한 경우: 본괘보다 지괘(之卦)의 괘사를 중심으로 해석합니다.

③ 상전(象傳) 참고

  • 주역에는 본문(經文) 외에도 해석을 돕는 **십익(十翼, 공자의 주석)**이 있습니다.
  • 특히 **상전(象傳)**에서 효사의 의미를 보완하여 해석할 수 있습니다.

 

6) 결과 분석:

주역 표에서 얻은 괘의 의미를 바탕으로 질문에 대한 답을 도출하고, 이를 참고하여 앞으로의 행동 방침이나 결정을 내립니다.

 

 

2. 본괘(本卦)에서 변효(變爻)란?

**변효(變爻, 변하는 효)**는 주역 점괘에서 미래로 변화하는 요소를 의미합니다.
주역에서는 점을 칠 때 **6개의 효(爻)**를 쌓아 하나의 괘(卦)를 형성하는데, 특정 효가 변하면 새로운 괘(之卦)가 만들어집니다. 이 변하는 효를 변효라고 합니다.

 

1) 변효의 결정 방법

주역 점을 칠 때, 동전점(銅錢占)이나 산가지점(筮法)을 사용하여 6개의 효를 만들고, 각 효가 변할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동전점을 예로 들면:

  • 동전 3개를 던져서 효 하나를 결정합니다.
  • 점수 계산법:
    • ⚊ (양) = 3점 (앞면)
    • ⚋ (음) = 2점 (뒷면)
    • 3개의 합이 6, 7, 8, 9 중 하나가 됩니다.

결과효 변효 여부

결과 변효 여부
6 (⚋) 노음(老陰) 변하는 음 (⚋ → ⚊)
7 (⚊) 소양(少陽) 변하지 않음
8 (⚋) 소음(少陰) 변하지 않음
9 (⚊) 노양(老陽) 변하는 양 (⚊ → ⚋)
  • 6(노음)과 9(노양)은 변효가 됨 → 변하여 반대 성질의 효로 바뀜.
  • 변효가 있는 효들은 점괘의 핵심 변화 지점으로 작용.

 

2) 변효의 역할과 의미

① 변효는 변화의 원인과 핵심을 나타냄

  • 변효가 있는 효는 현재 상황에서 변화가 일어나는 부분입니다.
  • 변효가 없다면 현재 상태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② 변효를 통해 지괘(之卦)가 형성됨

  • 변효가 있는 효를 반대로 바꿔서 새로운 괘(지괘)를 만듭니다.
  • 지괘는 미래의 변화 방향을 나타냅니다.

③ 변효의 효사(爻辭)를 해석하여 점을 풀이함

  • 변효가 한 개일 경우 → 해당 변효의 효사를 중점적으로 해석.
  • 변효가 여러 개일 경우 →
    • 보통 가장 중요한 위치의 변효(중심 효)를 중점적으로 봄.
    • 일부 경우에는 상효(上爻)나 초효(初爻)의 변화를 중요하게 볼 수도 있음.
    • 모든 효가 변하는 경우 → 본괘보다 지괘 중심으로 해석.

3) 변효 해석 시 고려할 요소

(1) 어느 효가 변했는가?

  • 🌱 초효(初爻): 시작 단계의 변화 → 상황의 첫 변화를 의미.
  • 🌿 이효(二爻): 내부적인 변화 → 개인적 고민, 의사결정.
  • 🌴 삼효(三爻): 실천과 행동 → 실제 행동에서 변화 발생.
  • ⛵ 사효(四爻): 지도층 변화 → 리더십이나 외부 요인 변화.
  • 🏆 오효(五爻): 핵심적인 변화 → 중요한 의사결정이 필요.
  • 🌟 상효(上爻): 극단적 변화 → 변화가 완전히 끝나는 단계.

(2) 변효의 숫자

  • 변효가 1개 → 가장 중요한 변화 요소가 하나만 존재
  • 변효가 여러 개 → 여러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
  • 모든 효가 변함 → 지괘 중심으로 해석해야 함

(3) 변효의 효사와 괘사(卦辭) 비교

  • 변효의 효사는 변화를 직접 설명하는 문장.
  • 괘사는 괘 전체의 상황을 말해 줌.
  • 변효의 효사가 괘사와 조화를 이루는지, 반대되는지를 고려하여 해석.

 

4) 결론

  • 변효는 점괘에서 핵심적인 변화 지점을 나타냄.
  • 변효를 통해 본괘에서 지괘로 변화하며, 점괘의 흐름을 알 수 있음.
  • 변효가 있는 효의 **효사(爻辭)**를 중심으로 점괘를 해석함.
  • 변효가 많을수록 해석이 복잡해지며, 모든 효가 변하면 지괘 중심으로 해석해야 함.

즉, 변효를 중심으로 해석하는 것이 주역 점괘 풀이의 핵심입니다.

 

 

3. 지괘(之卦)의 의미

주역(周易)에서 점을 칠 때, **지괘(之卦)**는 점괘의 변화와 미래의 흐름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본괘(本卦)와 비교하여 지괘를 해석하면, 현재 상황에서 어떻게 변화할지, 앞으로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를 알 수 있습니다.

 

1) 지괘의 형성

지괘는 본괘에서 **변효(變爻, 변화하는 효)**를 반대로 바꾸어 형성됩니다.

  • 양(⚊) → 음(⚋)
  • 음(⚋) → 양(⚊)

즉, 변효가 있는 효는 반대 성질로 바뀌어 새로운 괘를 만듭니다. 이 새로운 괘가 바로 **지괘(之卦)**입니다.

 

2) 지괘의 의미와 역할

지괘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① 미래의 변화 방향

  • 본괘가 현재 상황이라면, 지괘는 그 상황이 어떻게 변화할지를 나타냅니다.
  • 본괘가 원인이라면, 지괘는 그 결과를 보여줍니다.

② 변화를 해석하는 보조 수단

  • 본괘와 지괘를 비교하면 변화의 성격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본괘가 어려운 상황(坎, 험난함)이고 지괘가 편안한 상태(泰, 평화)라면, 어려운 상황에서 점차 안정되는 흐름으로 볼 수 있습니다.

③ 변효(變爻)와 함께 해석

  • 변효가 한 개일 경우 → 해당 변효의 효사 중심으로 해석
  • 변효가 여러 개일 경우 → 본괘와 지괘의 관계를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해석
  • 변효가 전효(全爻)일 경우 → 본괘보다 지괘의 의미를 더 중시함

 

3) 지괘 해석 시 주의점

  • 지괘가 본괘를 완전히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본괘에서 변화하는 과정을 보조적으로 해석하는 도구입니다.
  • 변효의 효사가 본괘의 의미를 강조하는지, 변화의 필요성을 말하는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 본괘와 지괘가 서로 조화를 이루는지, 갈등하는지를 분석하면 점괘의 흐름을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4) 결론

  • 본괘(本卦): 현재 상태, 출발점
  • 변효(變爻): 변화의 핵심 요소
  • 지괘(之卦): 미래의 변화 방향, 결과

따라서 점을 칠 때는 본괘의 기본 의미를 이해한 후, 변효를 중심으로 지괘를 분석하여 미래의 변화를 예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예제

1) 변효 결정: 이효(六二)와 사효(九四) 변화

본괘: 風雷益(䷩, 풍뢰익)

본괘의 효(爻) 배열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 巽 (風) ☳ 震 (雷)
  • 상괘(上卦) = 풍(巽, ☴)
  • 하괘(下卦) = 뇌(震, ☳)

변화하는 효(爻)

  • 이효(六二, ⚋ → ⚊)
  • 사효(九四, ⚊ → ⚋)

 

2) 변효 적용: 본괘에서 지괘로 변화

본괘(風雷益)의 효를 아래와 같이 변환합니다.

효의 위치 (爻位)본괘(風雷益)변효 적용 후

초효(初爻, 첫 번째) ⚊ (양) 변하지 않음
이효(二爻, 두 번째) ⚋ (음) → ⚊ (양) 변함
삼효(三爻, 세 번째) ⚋ (음) 변하지 않음
사효(四爻, 네 번째) ⚊ (양) → ⚋ (음) 변함
오효(五爻, 다섯 번째) ⚊ (양) 변하지 않음
상효(上爻, 여섯 번째) ⚋ (음) 변하지 않음

 

▶ 변화를 적용한 새 괘는 天澤履(䷉, 천택리) 입니다.

☰ 乾 (天) ☱ 兌 (澤)
  • 상괘(上卦) = 천(乾, ☰)
  • 하괘(下卦) = 택(兌, ☱)

 

3) 본괘(風雷益) vs. 지괘(天澤履) 비교

구분본괘(風雷益, 풍뢰익)변효(二효, 四효)지괘(天澤履, 천택리)

현재 상태 이익과 성장이 있는 시기 변화의 기운이 작용함 신중하게 행동해야 하는 시기
변화의 핵심 기회가 많은 상황 2효(수용적 → 적극적), 4효(주도적 → 조심) 올바른 도리를 따라야 함
미래 방향 올바르게 행동하면 이익이 따름 너무 무리하면 불리함 신중하게 처신해야 함

 

4) 변효 해석: 변화하는 효의 의미

① 이효(六二, ⚋ → ⚊) 변화

  • 효사: 「或益之十朋之龜,弗克違,元吉。」
    • 누군가 값진 거북껍질을 주는데, 이를 받아들이면 크게 길하다.
  • 해석:
    • 변화 전(⚋): 신중하고 조심스러운 태도
    • 변화 후(⚊): 적극적으로 기회를 받아들여야 함

② 사효(九四, ⚊ → ⚋) 변화

  • 효사: 「中行,告公從,利用為依遷國。」
    • 올바른 길을 가면서 지도자에게 알리고 따르게 하면 나라를 옮겨도 유리하다.
  • 해석:
    • 변화 전(⚊): 강한 추진력과 주도적인 태도
    • 변화 후(⚋): 조심스럽게 접근하면서 사람들과 협력해야 함

 

5) 지괘(天澤履, 천택리)의 의미와 해석

天澤履(䷉, 천택리)는 "신중한 행동"을 강조하는 괘입니다.

  • 괘사: 「履虎尾,不咥人,亨。」
    • 호랑이의 꼬리를 밟지만 물리지 않는다. 형통하다.
  • 의미:
    • 지금은 신중하게 행동해야 하는 시기.
    • 무모한 행동은 위험하지만, 올바르게 행동하면 문제를 피할 수 있음.

 

6) 최종 해석: 변효를 활용한 점괘 해석

  1. 현재 상황(본괘: 풍뢰익)
    • 이익을 얻을 기회가 많음.
    • 하지만 올바르게 행동해야 진정한 성장이 가능함.
  2. 변화의 핵심(변효: 二효, 四효)
    • 이효(⚋ → ⚊): 기회를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함.
    • 사효(⚊ → ⚋): 너무 강하게 밀어붙이지 말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함.
  3. 미래 전망(지괘: 천택리)
    • 신중한 태도가 중요하며, 함부로 행동하면 화를 입을 수 있음.
    • 섣부른 결정보다는 차분하게 상황을 지켜보며 대응해야 함.
    •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선택이 중요함.

 

7) 결론: 변효를 활용한 점괘 해석의 핵심 원칙

  1. 변효 결정: 동전점법을 사용하여 변하는 효를 결정한다.
  2. 변효 해석: 변효가 발생한 효사의 의미를 해석하여 변화의 원인을 분석한다.
  3. 본괘와 지괘 비교: 본괘는 현재, 지괘는 미래의 변화를 의미한다.
  4. 최종 해석: 변효를 통해 어떤 변화를 수용하고, 어떤 점을 조심해야 하는지를 판단한다.

 

🔥 요약: 변효를 활용한 점괘 해석

  • 현재 상태(풍뢰익): 이익과 성장이 있는 시기.
  • 변화의 핵심:
    • 이효(⚋ → ⚊): 기회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 길하다.
    • 사효(⚊ → ⚋): 너무 강하게 밀어붙이지 말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 미래 방향(천택리): 신중하게 처신해야 하며, 무모한 행동을 삼가야 한다.

즉, 현재는 성장의 기회가 있지만 변화가 필요하며, 너무 성급하게 나아가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변화를 받아들이되 신중하게 행동하는 것이 핵심 전략이다.

 

 

 

5. AI 로 해석하고 분석하여 점치는 방법

현대인들은 끊임없이 결정과 판단을 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합니다. 기존의 경험과 지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도 있지만, 새로운 문제와 더 나은 결정을 위해 고민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예로부터 점을 치거나 기도를 통해 답을 찾기도 했습니다.

 

주역을 통한 점치는 방법은 운명을 결정짓는 것이 아니라, 문제에 대한 결정과 판단을 어떻게 내릴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는 도구로 사용되어 왔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그러나 동전점이나 서점과 같은 전통적인 방법들은 절차가 복잡하고 현대의 바쁜 생활 속에서 적용하기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AI 기술을 활용하여 보다 간편하고 정확한 해석과 분석을 통해 점치는 방법을 제공하여 문제의 결정과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경험해보세요.

 

 

# 주역으로 보는 운세

 

 


도올주역강해

도올 김용옥 선생님의 주역 강해 유튜브 링크를 공유합니다.

 

 

[도올주역강해 2] 주자의 '주역연구'의 출발, '역易'은 '점占'이다 - "미래를 안다는 것은 도덕을 거부하는 것"

 

 

 

 

 이전  주역점 》 64괘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