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周易)/주역 64괘 해설

47. 곤괘(困卦) ☱☵ : 어려움, 고통

Change Book 2025. 2. 20.
 이전 64괘표 다음 

 

택수곤괘는 곤경과 고난을 상징합니다. 연못 아래 물이 갇힌 모습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나아가는 자세를 보여줍니다. 이는 인내와 내면의 강인함을 강조합니다.

 

먹선으로 그린 고요한 풍경 속에서 뿌리가 깊이 박힌 나무가 어려운 상황에서 버티고 있는 장면

 

• 원문: : 亨, 貞, 大人吉, 无咎, 有言不信
• 음: 형, 정, 대인길, 무구, 유언불신
• 기본 의미: 어려움, 고통

 상세 해설:
o 형(亨): 형통하고 순조로움을 의미합니다.
o 정(貞): 올바르고 곧음을 의미합니다.
o 대인길(大人吉): 큰 사람이 길함을 의미합니다.
o 무구(无咎): 허물이 없음을 의미합니다.
o 유언불신(有言不信): 말에 신뢰가 없음을 의미합니다.
o 곤괘는 어려움과 고통을 의미하며, 어려운 상황에서 인내해야 함을 나타냅니다. 인내와 희망이 강조됩니다.

 괘사 해설:
o "형통하고 올바르며, 큰 사람이 길하고 허물이 없으며, 말에 신뢰가 없다"는 의미입니다.
o 어려움과 고통을 강조하며, 인내하고 희망을 가져야 함을 상징합니다.

 효사 해설: () ☱ ☵
o 초육(初六): 臀困于株木, 入于幽谷, 三歲不覿 (둔곤우주목, 입우유곡, 삼세불적) - 엉덩이가 나무 그루터기에 묶여, 깊은 골짜기에 들어가니, 삼 년 동안 보이지 않는다.
o 구이(九二): 困于酒食, 朱紱方來, 利用享祀, 征凶, 无咎 (곤우주식, 주불방래, 이용향사, 정흉, 무구) - 술과 음식에 곤란하여, 붉은 비단을 입은 사람이 찾아오니, 제사 지내는 것이 이롭고, 나아가면 흉하나 허물이 없다.
o 육삼(六三): 困于石, 據于蒺藜, 入于其宮, 不見其妻, 凶 (곤우석, 거우질려, 입우기궁, 불견기처, 흉) - 돌에 곤란하여 가시덤불에 걸리니, 궁전에 들어가도 아내를 만나지 못하니 흉하다.
o 구사(九四): 來徐徐, 困于金車, 告喬仇, 元吉 (래서서, 곤우금거, 고교구, 원길) - 천천히 오니, 금수레에 곤란하게 되고, 높은 사람에게 고하여 크게 길하다.
o 구오(九五): 劓刖困于赤紱, 乃徐有說, 利用祭祀 (의월곤우적불, 내서유설, 이용제사) - 코가 베이고 발이 잘려 붉은 비단에 곤란하나, 천천히 기뻐함이 생기니, 제사 지내는 것이 이롭다.
o 상육(上六): 困于葛藟, 于臲卼, 曰動悔, 有悔, 征吉 (곤우갈뢰, 우얼올, 왈동회, 유회, 정길) - 칡넝쿨에 곤란하게 되어 위태로워 몸을 움직이면 후회가 있으니, 후회하면 나아가길 길하다.

 

 

 

 이전 64괘표 다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