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周易)/주역 64괘 해설

(주역) 52. 간위산 (艮爲山) ☶☶ : 멈춤, 고요함

Change Book 2025. 2. 20.
 이전 64괘표 다음 

 

간괘는 멈춤과 안정의 상태를 상징합니다. 산이 가로막고 있는 모습은 더 이상 나아가는 대신 그 자리에 멈추어 성찰하고 내면을 다스리는 가치를 강조합니다.

갑작스런 벽과 같은 산을 오르는 모습, 정지와 자제력을 강조하는 이미지.

 

 

📜 원문 / 기본 의미

• 원문: 其背不獲其身, 行其庭不見其人, 无咎
• 음: : 기배불획기신, 행기정불견기인, 무구
• 기본 의미: 멈춤, 고요함

 

📃 상세 해설

o 기배불획기신(其背不獲其身): 그의 등을 보지만 그의 몸을 붙잡지 못함을 의미합니다.
o 행기정불견기인(行其庭不見其人): 그의 뜰을 걷지만 사람을 보지 못함을 의미합니다.
o 무구(无咎): 허물이 없음을 의미합니다.
o 간괘는 멈춤과 고요함을 의미하며, 일시적인 멈춤과 안정이 필요함을 나타냅니다. 침착함과 고요함이 강조됩니다.

 

🦉 괘사 해설

o "그의 등을 보지만 그의 몸을 붙잡지 못하고, 그의 뜰을 걷지만 사람을 보지 못하여 허물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o 멈춤과 고요함을 강조하며, 일시적인 멈춤과 안정이 필요함을 상징합니다.

🌿  효사 해설 : () ☶ ☶

• 초육(初六): 艮其趾, 无咎, 利永貞 (간기지, 무구, 이영정) - 발끝을 멈추니 허물이 없고, 오래도록 바르게 하면 이롭다.

• 육이(六二): 艮其腓, 不拯其隨, 其心不快 (간기비, 부증기수, 기심불쾌) - 종아리를 멈추니 따라가려 하지 않아, 마음이 불편하다.

• 구삼(九三): 艮其限, 列其夤, 厲薰心 (간기한, 열기인, 려훈심) - 허리를 멈추니 등뼈가 어그러져, 마음을 태운다.

• 육사(六四): 艮其身, 무咎 (간기신, 무구) - 몸을 멈추니 허물이 없다.

• 육오(六五): 艮其輔, 言有序, 悔亡 (간기보, 언유서, 회망) - 턱을 멈추니 말이 질서 있게 되어, 후회가 없어진다.

• 상구(上九): 敦艮, 吉 (돈간, 길) - 돈독하게 멈추니 길하다.

 

 

 

 이전 64괘표 다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