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노자 도덕경70 노자 도덕경 제46장: 지족(知足)의 중요성과 무도(無道)한 세상 노자 도덕경 제46장은 세상에 도(道)가 있을 때와 없을 때의 극명한 차이를 전쟁과 농사의 비유를 통해 보여주는 장입니다. 도가 상실된 무도(無道)한 세상의 근본적인 원인이 인간의 끝없는 욕심(不知足, 欲得)에 있음을 지적하고, 그 해법으로 '만족할 줄 아는 것(知足)'이야말로 진정한 풍요로움이며 재앙을 막는 길임을 강조합니다. 욕심을 비우고 소박하게 사는 삶의 가치를 다시 한번 역설합니다. 📖 목차📜 원문 (原文)📃 원문 전체 문자적 의미🍃 구절별 해설 및 해석 (逐句解說與解釋)天下有道 卻走馬以糞 (천하유도 각주마 이분)天下無道 戎馬生於郊 (천하무도 융마 생어 교)禍莫大於不知足 (화 막대어 불지족)咎莫大於欲得 (구 막대어 욕득)故知足之足 常足矣 (고 지족지족 상족의)🌳 전체적인 해석🌟 제46.. 노자/노자 도덕경 2025. 5. 7. 노자 도덕경 제45장: 과유불급(過猶不及)과 지족(知足)의 중요성 (2) 노자 도덕경 제45장은 겉으로 보기에는 부족하거나 완벽하지 않은 듯 보이지만, 오히려 그러한 상태가 진정한 완전함과 무한한 유용성을 지닌다는 역설적인 진리를 제시하는 장입니다. 도(道)의 속성이 이러한 역설 속에 담겨 있음을 여러 비유를 통해 보여주고, 궁극적으로 마음을 맑고 고요하게 유지하는 것(清靜)이야말로 세상의 올바른 기준이 됨을 제시합니다. 제9장, 11장, 22장, 34장 등의 내용과 깊이 연결됩니다. 📖 목차📜 원문 (原文)📃 원문 전체 문자적 의미🍃 구절별 해설 및 해석 (逐句解說與解釋)大成若缺 其用不弊 (대성 약결 기용 불폐)大盈若冲 其用不窮 (대영 약충 기용 불궁)大直若屈 大巧若拙 大辯若訥 (대직 약굴 대교 약졸 대변 약눌)躁勝寒 靜勝熱 (조승한 정승열)清靜為天下正 (청정 위 천.. 노자/노자 도덕경 2025. 5. 7. 노자 도덕경 제44장: 과유불급(過猶不及)과 지족(知足)의 중요성 (2) 노자 도덕경 제44장은 인간이 중요하게 여기는 '명예(名)'와 '재물(貨)'이 자신의 '몸(身)'이나 '삶'보다 본질적으로 덜 중요함을 질문하며 시작하는 장입니다. 지나친 욕심과 집착이 큰 대가를 치르게 하고 결국 모든 것을 잃게 만든다고 경고하고, 그 대안으로 '만족할 줄 아는 것(知足)'과 '멈출 줄 아는 것(知止)'이야말로 위험을 피하고 오래도록 평안함을 누리는 길임을 제시하는 실천적인 지혜의 장입니다. 제9장의 내용과 깊이 연결됩니다. 📖 목차📜 원문 (原文)📃 원문 전체 문자적 의미🍃 구절별 해설 및 해석 (逐句解說與解釋)名與身孰親 (명 여신 숙친)身與貨孰多 (신 여화 숙다)得與失孰病 (득 여실 숙병)是故甚愛必大費 (시이 심애 필 대비)多藏必厚亡 (다장 필 후망)知足不辱 (지족 불욕)知止.. 노자/노자 도덕경 2025. 5. 7. 노자 도덕경 제43장: 부드러움과 약함의 승리 (2) 노자 도덕경 제43장은 제8장 '상선약수'(上善若水)와 제36장 '유약승강강'(柔弱勝剛強)의 핵심 사상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장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부드럽고 약한 것(물, 형체 없음)이 가장 단단하고 강한 것을 이기는 역설적인 원리를 제시하며, 이러한 자연의 이치를 통해 인위적인 노력 없이도 큰 효과를 얻는 '무위(無為)'의 유익함과 '말 없는 가르침(不言之教)'의 가치를 강조합니다. 📖 목차📜 원문 (原文)📃 원문 전체 문자적 의미🍃 구절별 해설 및 해석 (逐句解說與解釋)天下之至柔 馳騁天下之至堅 (천하지 지유 치빙 천하지 지견)無有入無間 (무유 입 무간)吾是以知無為之有益 (오 시이 지 무위지 유익)不言之教 無為之益 (불언지교 무위지 익)天下希及之 (천하 희급지)🌳 전체적인 해석🌟 제43장의.. 노자/노자 도덕경 2025. 5. 7. 노자 도덕경 제42장: 만물의 생성 과정과 역설적인 조화 노자 도덕경 제42장은 만물(萬物)이 근원적인 도(道)로부터 어떻게 생겨나고 발전하며 조화를 이루는지를 설명하는 장입니다. '도생일(道生一), 일생이(一生二), 이생삼(二生三), 삼생만물(三生萬物)'이라는 유명한 구절을 통해 만물 생성의 우주론적 과정을 제시하고, 만물이 음(陰)과 양(陽)의 조화 속에서 형성되며, '낮추는 것'이 오히려 '높아지는 것'이라는 역설적인 지혜를 이야기합니다. 전쟁의 해악을 다시 경고하며, 도를 따르는 사람(교인)은 이러한 역설을 실천해야 함을 제시합니다. 📖 목차📜 원문 (原文)📃 원문 전체 문자적 의미🍃 구절별 해설 및 해석 (逐句解說與解釋)道生一 一生二 二生三 三生萬物 (도생일 일생이 이생삼 삼생만물)萬物負陰而抱陽 沖氣以為和 (만물 부음 이 포양 충기 이위화)人之.. 노자/노자 도덕경 2025. 5. 7. 노자 도덕경 제41장: 도(道)를 대하는 태도와 역설적인 속성 노자 도덕경 제41장은 사람들이 도(道)에 대해 듣고 이해하는 방식의 차이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설명하는 장입니다. 그리고 도의 본질이 인간의 상식적인 생각과는 정반대의 역설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음을 여러 비유를 통해 보여줍니다. 도의 오묘함과 이해하기 어려움을 강조하며, 궁극적으로 도는 숨겨져 있고 이름이 없지만 만물을 이끌고 완성하는 근원임을 제시합니다. 📖 목차📜 원문 (原文)📃 원문 전체 문자적 의미🍃 구절별 해설 및 해석 (逐句解說與解釋)上士聞道勤而行之 (상사 문도 근 이 행지)中士聞道若存若亡 (중사 문도 약존 약망)下士聞道大笑之 (하사 문도 대소지)不笑不足以為道 (불소 부족이위 도)故建言有之 明道若昧 進道若退 夷道若纇 上德若谷 大白若辱 廣德若不足 建德若偷 質眞若渝 (고 건언 유지 .. 노자/노자 도덕경 2025. 5. 7. 노자 도덕경 제40장: 반자도지동(反者道之動)과 약자도지용(弱者道之用) 노자 도덕경 제40장은 도(道)의 두 가지 근본적인 작용 원리를 설명하는 짧지만 심오한 장입니다. 모든 현상은 정점에 이르면 반대 방향으로 되돌아가고('反者道之動'), 약함 속에 오히려 진정한 힘과 작용이 발현된다('弱者道之用')는 역설적인 원리를 제시하며, 만물의 근원적인 바탕이 '유(有)'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무(無)'에서 비롯됨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 목차📜 원문 (原文)📃 원문 전체 문자적 의미🍃 구절별 해설 및 해석 (逐句解說與解釋)反者道之動 (반자 도지동)弱者道之用 (약자 도지용)天下萬物生於有 (천하 만물 생어 유)有生於無 (유 생어 무)🌳 전체적인 해석🌟 제40장의 전체적인 의미와 중요성 📜 원문 (原文)反者道之動弱者道之用天下萬物生於有有生於無 📃 원문 전체 문자적 의미.. 노자/노자 도덕경 2025. 5. 7. 노자 도덕경 제39장: 하나됨(一)의 중요성 노자 도덕경 제39장은 만물의 근원적인 통일성이자 도(道)의 본질을 상징하는 '하나(一)'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장입니다. 하늘, 땅, 신, 골짜기, 만물, 왕후 등 다양한 존재들이 어떻게 '하나'를 얻음으로써 본래의 기능을 발휘하고 안정될 수 있는지를 제시하며, '하나'를 잃었을 때 발생하는 파괴와 혼란을 경고합니다. 이를 통해 '귀한 것은 천한 것을 근본으로 삼고, 높은 것은 낮은 것을 기초로 삼는다'는 역설적인 원리를 도출하고, 도를 따르는 지도자(왕후)의 겸손한 태도와 소박함의 미덕을 강조합니다. 📖 목차📜 원문 (原文)📃 원문 전체 문자적 의미🍃 구절별 해설 및 해석 (逐句解說與解釋)昔之得一者 天得一以清 地得一以寧 神得一以靈 谷得一以盈 萬物得一以生 侯王得一以為天下貞 (석지득일자 천득일이청 .. 노자/노자 도덕경 2025. 5. 7. 노자 도덕경 제38장: 상덕(上德)과 하덕(下德)의 구분 노자 도덕경 제38장은 상편 '도경(道經)'의 마지막 장이자 하편 '덕경(德經)'의 시작을 알리는 장으로, 덕(德)의 본질에 대해 심도 깊게 논합니다. 인위적으로 드러내거나 의식하는 '하덕(下德)'과 달리, 도(道)와 하나 되어 자연스럽게 발현되는 '상덕(上덕)'이야말로 진정한 덕임을 제시하며, 인의예(仁義禮)와 같은 인위적인 도덕률이 도의 상실 이후에 등장하는 것이며, 그중 '예(禮)'가 가장 피상적이고 문제의 근원임을 비판합니다. 진정한 도인은 겉치레를 버리고 내면의 충실함을 추구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 목차📜 원문 (原文)📃 원문 전체 문자적 의미🍃 구절별 해설 및 해석 (逐句解說與解釋)上德不德 是以有德 下德不失德 是以無德 (상덕 불덕 시이 유덕 하덕 불실덕 시이 무덕)上德無為而無以為 下德.. 노자/노자 도덕경 2025. 5. 6. 노자 도덕경 제37장: 도(道)의 무위(無為)와 만물의 자화(自化), 그리고 지지(知止) 노자 도덕경 제37장은 도(道)의 가장 근원적인 성질인 '무위(無為)'가 어떻게 만물의 '자화(自化)'(스스로 변화함)를 이끌어내는지 설명하는 장입니다. 또한 이러한 자연스러운 변화 과정에서 인간의 욕심이 개입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지적하고, 도의 본질인 '이름 없는 소박함(無名之樸)'과 '욕심 없음(無欲)'을 통해 이를 다스리고 궁극적으로 '천하가 스스로 바르게 되는(自正)' 상태에 이를 수 있음을 제시하며 무위지치(無為之治)의 이상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 목차📜 원문 (原文)📃 원문 전체 문자적 의미🍃 구절별 해설 및 해석 (逐句解說與解釋)道常無爲 而無不爲 (도 상무위 이 무불위)侯王若能守之 萬物將自化 (후왕 약능수지 만물 장자화)化而欲作 吾將鎮之以無名之樸 (화이욕작 오장 진지 이 무명지.. 노자/노자 도덕경 2025. 5. 6. 노자 도덕경 제36장: 부드러움과 약함의 승리 노자 도덕경 제36장은 사물이나 상황을 제어하고 변화시키는 역설적인 원리를 제시하는 장입니다. 무언가를 줄이거나 약하게 만들고 빼앗으려 할 때, 오히려 그 반대의 행위를 먼저 해야 한다는 심오한 지혜를 통해 부드러움과 약함이 궁극적으로 강함과 단단함을 이긴다는 도(道)의 핵심 원리를 설명합니다. 이는 도인의 처세와 지도자의 태도에 대한 중요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 목차📜 원문 (原文)📃 원문 전체 문자적 의미🍃 구절별 해설 및 해석 (逐句解說與解釋)將欲歙之 必固張之 (장욕 섭지 필고 장지)將欲弱之 必固強之 (장욕 약지 필고 강지)將欲廢之 必固興之 (장욕 폐지 필고 흥지)將欲奪之 必固予之 (장욕 탈지 필고 여지)是謂微明 (시위 미명)柔弱勝剛強 (유약 승 강강)魚不可脫於淵 (어 불가 탈어 연)國家利.. 노자/노자 도덕경 2025. 5. 6. 노자 도덕경 제35장: 도(道)의 불가사의한 힘과 무미(無味)한 본질 노자 도덕경 제35장은 만물의 근원인 도(道)가 지닌 강력하고도 평화로운 힘, 그리고 겉보기에는 단순하고 보잘것없지만 그 작용은 무궁무진한 본질을 설명하는 장입니다. 도가 모든 사람을 이끌고 평화롭게 만들지만, 인간의 감각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맛없음'(無味)의 속성을 가집니다. 도의 미묘함과 끝없는 작용력을 대비적으로 제시하며 도의 초월적인 가치를 강조합니다. 📖 목차📜 원문 (原文)📃 원문 전체 문자적 의미🍃 구절별 해설 및 해석 (逐句解說與解釋)執大象天下往 (집 대상 천하왕)往而不害 安平太 (왕 이 불해 안평 태)樂與餌 過客止 (락 여이 과객지)道之出口 淡乎其無味 (도지 출구 담호 기 무미)視之不足見 聽之不足聞 (시지 부족견 청지 부족문)用之不可既 (용지 불가 기)🌳 전체적인 해석🌟 제.. 노자/노자 도덕경 2025. 5. 6. 이전 1 2 3 4 5 6 다음